흔해진 2만원 떡볶이… “이젠 엽떡이 싸보여”
고물가가 이어지면서 2만원 떡볶이와 5000원 커피가 흔해졌다. 예전엔 고급 브랜드로 불렸던 프랜차이즈 메뉴가 이젠 가성비 있는 음식으로 바뀌고 있는 것이다.
과거 1만원이 넘는 대용량 떡볶이를 처음 선보이며 ‘비싼 떡볶이’의 기준점이 된 엽기떡볶이(엽떡)는 올해까지 12년째 3~4인분 기본 메뉴의 가격(1만4000원)을 동결했다. 퇴근 후 자주 떡볶이를 먹는 유모(32)씨는 “과거에는 엽떡이 너무 비싸다 생각했는데 요즘은 엽떡이나 시장떡볶이나 1인분으로 나눠보면 비슷하다”
3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떡볶이는 품목별 소비자물가지수가 2021년 102.95, 2022년 112.90, 2023년 121.96으로 매년 상승 중이다. 올해도 1분기 126.33, 2분기 128.88로 상승 흐름이다. 2020년 이후 최근 분기까지 상승률은 약 29%로, 같은 기간 물가지수가 14% 오른 것과 비교하면 떡볶이 물가의 오름폭이 거의 2배다.
실제로 현재 엽떡보다 비슷하거나 비싸게 메뉴 가격을 책정한 프랜차이즈가 많아졌다. ‘청년다방’의 차돌 떡볶이(3~4인분)는 1만6500원, ‘배떡’의 대표 메뉴 로제 떡볶이는 1만9000원(3~4인분)이다. 음료와 튀김 등 사이드메뉴까지 있는 세트메뉴를 주문할 경우 대부분 2만원대로 가격이 높아진다.
2010년대 당시 고급 빙수의 원조라고 불렸던 설빙 역시 지속적으로 가격을 인상하고 있지만 최근엔 ‘가성비’ 디저트로 불리고 있다. "최근에는 토핑을 조금만 추가해도 1인당 1만5000원이 훌쩍 넘는 ‘요아정’(요거트아이스크림의정석) 가격 때문인지 오히려 저렴하게 느껴지는 디저트 중 하나”라고 말했다.
스타벅스 역시 입점 초기 고급 커피로 유명했으나, 25년이 지난 지금은 가격대가 비슷한 프랜차이즈 커피전문점이나 개인 카페도 많이 찾아볼 수 있다.